반응형

면접을 잘 보기 위해서는 알아야 할 것은 크게 2가지로 나뉜다. 면접관이 무엇을 보는지 그리고 나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다. 사실 면접 준비를 위한 기초 자료 수집과 생각의 정리는 자기소개서 쓸 당시에 이미 완성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경력직의 경우에는 자기소개서를 안 쓰는 경우도 많으므로, 준비가 안됐다는 것을 가정하고 아래의 내용을 보도록 하자.

 

(채용 담당자가 사용하는 기법은 국내, 해외 거의 유사하다. 외국계 또는 해외기업에 취업한다면, 문화적으로 맞는지, Culture fit을 추가로 본다.)

핵심은 면접관이 보고 싶은 것을 답변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면접관이 무엇을 보는지를 보려면, 우선 면접 평가표에 어떤 항목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구조화 면접 또는 반구조화면접을 하는 회사들은 일반적으로 면접 평가표가 아래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기본 자질

  • 인성 및 태도
  • 의사소통 능력
  • 지원동기 및 회사 이해도

-       업무 역량:

  • 공통역량: 외국어, Global 역량, 조직적응력, 팔로우십&리더십
  • 직무역량: 업무 경험, 적합도, 전문역량

 

자 그럼, 면접을 보는 사람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인성은 인성검사를 실시했다면, 해당 검사에서 점수가 낮게 나온 부분이 정말 그런지 검증하기 위해 상황을 하나 주고, 당신이라면 어떻게 행동하겠는가? 왜 그렇게 판단했는가? 와 같은 Behavioral Question 또는 Situational Question을 한다. 이 부분을 대답할 때는 회사의 인재상을 머릿속에 염두에 두고, 인재상과 같은 사람처럼 보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태도는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면접 볼 때의 자세이다. 자세는 올바른지, 면접에 지각하지는 않았는지, 면접장에 들어올 때 자세가 이상하든지, 표정이 이상하든지, 면접관의 말을 끝까지 경청하지 않고 말을 끊어 먹는지, 답변을 성실하게 하는지 등을 본다.

 

의사소통 능력은 결론부터 이야기하는지, 남의 생각을 옮기는 것이 아닌 자기의 생각을 말하며, 말이 너무 장황하지 않고, 근거와 예시를 명확히 들어서 핵심을 잘 설명하는지, 면접관의 질문을 똑바로 이해하고 대답하는지, 말 뒤끝을 얼버무리지는 않는지 등을 본다.

 

지원 동기 및 회사 이해도는 나와 회사에 대해서 얼마나 공부가 되어 있는지를 본다. 나는 어떤 사람이고 무엇을 잘하며, 무엇을 하고 싶은지 자아 인지가 잘 된 상태에서, 회사에 대해서, 직무에 대해서 조사해 본 결과 그것이 인지된 자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회사에 대해서 인터넷 기사 몇 개 알아보고 온 정도는 금방 탄로난다. 대표의 신년사, 사업보고서(금감원 전자공시 또는 공공기관 알리오 참조), 재무 현황 등을 꼼꼼히 읽어보고, 회사가 어떤 상황에 있길래, 무엇을 하고자 하길래, 이 포지션을 뽑는 것인지 채용공고와 함께 놓고 잘 생각해보고 가라. 그래서 이 답변의 결론은, 내가 회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면접관을 설득하는 것이 핵심이다.

 

공통역량 이란, 그 회사 사람이라면 응당 갖추고 있어야 할 속성이 있는지를 보는 것이다. 바꿔 말하면 현재 그 회사에 있는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이다. 조직적응력이나 팔로우십, 리더십도 역시 인성검사와 같이 행동 기반 또는 상황 질문을 던진다. 역시 인재상을 머릿속에 염두에 두자.

 

직무역량은 말그대로 지원하는 직무의 사람이라면 가지고 있어야 할 Skill & Knowledge이다. 과거 경험을 바탕으로 내가 가진 기술, 지식, 노하우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현재 뽑고 있는 포지션에 얼마나 필요한 것이지 어필하자. 내가 왜, 어떻게 그러한 기술, 지식, 노하우를 갖게 되었는지, 정확하고 구체적인 근거를 들어서 설명하자. 숫자를 곁들이면 가장 좋다. 특히 숫자를 다루는 직무(영업, 회계 등) 라면 본인의 실적, 근무했던 회사의 실적 등에 대한 숫자는 암기하고 가자.
직무역량 부분에서 많은 사람들이 횡설수설한다. 더 잘 보이고 싶은 욕심에 이것도 말했다가 저것도 말했다가 난리가 난다. 그래서 면접 준비할 때는 내 경험을 종이에 나열하고 Skill & Knowledge 관점에서 카테고리화 하여 머리 속에 숙지해 놔야 한다.

반응형

'면접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관을 사로 잡는 1분 자기소개 비법  (0) 2023.11.25
처우 협의 노하우  (0) 2023.09.02

+ Recent posts